스타크래프트 공중유닛 뭉치기 (뮤탈 뭉치기 커세어 레이스 지상)
스타크래프트에서 뮤탈리스크, 레이스 같은 공중유닛들을 잘 컨트롤하면 큰 이득을 얻을 수 있습니다. 공중유닛을 컨트롤 하기 전 먼저 해야하는 것은 공중유닛 뭉치기 입니다. 공중유닛을 뭉쳐서 한 곳에 겹쳐야 홀컨, P컨 등이 잘 됩니다. 그리고 공중유닛 뭉치기의 방법을 이용해 지상유닛을 촘촘하게 모을 수 있습니다.
그러면 공중유닛을 뭉치는 방법과 주의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공중유닛을 화면 밖의 유닛과 함께 선택하기
공중유닛을 선택할 때 공중유닛이 있는 화면 밖에 있는 유닛과 같이 선택하면 공중유닛을 쉽게 뭉칠 수 있습니다. 사실은 같은 화면에 있어도 너무 가깝지만 않으면 되지만 화면으로 생각하는 것이 편합니다. 이 기술은 저그 프로게이머 서경종이 처음으로 발견했다고 합니다.
화면 밖의 유닛과 함께 선택하면 그냥 이동명령을 내려도 잘 뭉쳐지지만 아래 이미지처럼 반시계, 시계 방향으로 유닛을 돌린다는 느낌으로 명령을 내리면 더 잘 뭉쳐집니다.

위의 이미지에서는 11시에 있는 오버로드와 함께 묶어서 뮤탈리스크를 뭉쳤습니다. 어떤 유닛과 같이 선택해도 상관없지만 뭉치는 유닛이 공중유닛과 같은 화면에 있으면 안되기 때문에 속도가 느리거나 움직이지 않는 유닛이 좋습니다.
저그는 뮤탈리스크를 자주 사용하고 뮤탈컨트롤이 중요하기 때문에 뮤탈뭉치기를 할 일이 많습니다.
저그의 경우 오버로드와 묶거나 저글링을 가둬서 묶거나 버로우한 유닛과 묶거나 라바와 묶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버로드는 속도가 느려서 좋고 저글링은 다른 유닛보다 인구수가 적습니다.




공통적인 주의사항은 공중유닛과 같은 화면에 있으면 안된다는 점입니다.
오버로드는 느리지만 뮤탈리스크를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항상 오버로드의 위치를 신경쓰고 교체해줘야 합니다.
러커와 묶게 된다면 홀컨을 할 때 러커도 홀드를 하게 되고 스탑러커와 비슷한 효과가 있어 공격을 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라바의 경우 다른 유닛으로 변태되기 때문에 계속 신경써줘야 합니다.
저글링을 미네랄 뒤에 가둔 경우 미네랄을 캐서 가둬둔 저글링이 나오게 될 수 있습니다.
테란의 경우 레이스 컨트롤, 발키리 백샷을 하는 경우가 있고 이 때 뭉치기를 해야합니다.
테란은 scv를 가둬서 묶거나 시즈모드를 한 탱크와 묶어서 뭉치기를 합니다.


scv를 미네랄 뒤에 가둔 경우 미네랄을 캐면 scv가 나오게 됩니다.
프로토스의 경우 커세어나 스카웃을 뭉쳐서 사용합니다.
주로 프로브를 가둬서 커세어를 뭉칩니다.

무브를 이용해 뭉치기
화면 밖의 유닛과 묶는 방법이 발견되기 전에 사용하던 방식으로 미네랄, 가스, 건물, 유닛 등에 무브를 찍어 뭉치는 방법입니다.



대상에 무브 명령을 내려주면 되고 적의 건물이나 유닛으로 뭉칠 경우 우클릭을 하면 무브가 아니라 공격명령이 되기 때문에 M+좌클릭으로 무브명령을 내려주면 됩니다.
지상유닛 뭉치기 : 촘촘하게 모으기
화면 밖의 유닛과 묶어서 공중유닛을 뭉치는 기술은 지상 유닛에게도 적용됩니다. 지상유닛은 겹쳐질 수 없지만 간격을 촘촘하게 만드는데 이 기술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컨트롤 + C, 알트 + C로 화면 이동
화면 밖의 유닛과 공중유닛을 함께 묶어서 부대지정한 경우 번호를 두 번 눌러 화면이동을 하면 공중유닛과 묶기 위해 사용한 유닛이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공중유닛이 화면의 정중앙으로는 오지 않습니다
컨트롤 + C, 알트 + C는 현재 초상화 (메뉴 아래 나오는 것) 의 유닛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화면 이동시 공중유닛을 화면의 정중앙에 오게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