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 Blog

다양한 정보 – 스타크래프트, 그림AI, 동물, 파이썬 등

계곡산개구리동물한국의 양서류

계곡산개구리 (특징, 생애, 구분 방법)

계곡산개구리는 한국에서 볼 수 있는 세 가지 산개구리 종류 중 하나로 주로 산과 계곡에서 볼 수 있습니다. 2~3월에 겨울잠에서 깨어나 번식하는데 산란시기는 기온과 비가 오는지에 따라 시기에 변동이 있습니다. 번식을 하고 성체는 산에서 벌레를 먹으며 살아가다가 겨울이 되면 겨울잠에 들게 됩니다. 알은 난할을 거치며 발생해 올챙이의 형태로 변하고 올챙이는 잡식성으로 조류, 시체 등을 먹으며 성장합니다. 그러다가 뒷다리가 나고 앞다리가 나며 꼬리가 흡수되어 새끼개구리가 되고 물을 떠나게 됩니다.

계곡산개구리는 포획금지종으로 산란지인 계곡 등의 장소가 개발이 되면서 많은 피해를 받고 있습니다. 특히 사람이 사는 곳 근처에서는 비에 의한 피해를 막기위해 계곡을 공사하거나 물을 모으기 위한 집수정을 만드는데 산란지를 잃거나 집수정에서 나오지 못해 죽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가뭄등의 영향으로 물이 말라 알과 올챙이가 전멸하기도 합니다.

계곡산개구리의 알

계곡산개구리는 넓고 깊은 곳보다는 계곡 같은 곳에 알을 낳는 것을 선호하는 편입니다. 계곡산개구리의 알은 검은색 수정란이 투명한 우무질로 쌓여있고 알들이 덩어리를 이루고 있습니다. 알을 낳으면 우무질이 물을 흡수해서 부풀게 됩니다.

계곡산개구리의 알은 보통 낙엽, 돌 같은 곳에 붙어 있고 알덩어리의 크기가 큰산개구리보다 작은 편입니다. 수정란이 큰산개구리보다 큰 편이고 수정란이 알에서 차지하는 비율도 큰산개구리의 알보다 큰 편입니다. 또한 알들이 가까이 뭉쳐있다는 느낌이 납니다. 그리고 손으로 만져보면 차이를 느끼기 쉬운데 큰산개구리의 알덩어리는 흐느적한 슬라임 같은 느낌이고 계곡산개구리의 알은 탱탱함이 유지되는 봉봉의 알갱이 같은 느낌입니다.

계곡산개구리 알
계곡산개구리 알
알 2
계곡산개구리 알 2

수정란은 난할을 거치면서 올챙이의 모습으로 변하게 됩니다.

시간이 지난 후의 계곡산개구리 알
시간이 지난 후의 계곡산개구리 알
계곡산개구리알의 발생
계곡산개구리알의 발생

올챙이가 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은 환경과 개체에 따라 다르지만 20~30일 정도 걸리는 것으로 보입니다.

계곡산개구리 올챙이

알이 올챙이의 모습이 되면서 움직일 수 있게 되고 우무질 밖으로 나옵니다. 우무질 밖에서 완전한 올챙이의 형태가 되면서 활동을 시작합니다.

알에서 막 나온 올챙이
알에서 막 나온 올챙이
계곡산개구리 올챙이
계곡산개구리 올챙이
계곡산개구리 올챙이 2
올챙이 2

계곡산개구리의 올챙이는 잡식성으로 풀을 먹기도 하고 생물의 시체나 벌레를 먹습니다. 도롱뇽 유생처럼 사냥을 하지는 않지만 약하거나 죽은 올챙이를 먹기도 합니다. 먹이를 먹으면서 점점 크기가 커지는데 금빛무늬가 생기기도 합니다.

계곡산개구리 올챙이 3
계곡산개구리 올챙이 3
계곡산개구리 올챙이 4
계곡산개구리 올챙이 4

뒷다리와 앞다리가 나면서 꼬리가 흡수되고 몸의 형태가 변해 개구리가 됩니다.

뒷다리가 난 올챙이
뒷다리가 난 올챙이
개구리가 되어가는 올챙이
개구리가 되어가는 올챙이
개구리가 되어가는 올챙이 2
개구리가 되어가는 올챙이 2

환경에 따라 다르지만 올챙이로 2달 정도를 보내고 개구리가 되어 5월말~7월초에 개구리가 되어 물 밖으로 나오게 됩니다.

계곡산개구리 성체

계곡산개구리의 성체의 등은 붉은 색, 어두운 녹색, 갈색 등의 색을 띄고 있고 점 같은게 나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계곡산개구리가 사는 환경의 낙엽, 돌 등과 유사한 색으로 자세히 보지 않으면 잘 안 보일 수도 있습니다. 산에서 주로 벌레를 잡아먹으며 살아가고 겨울이 되면 흙 아래나 물 아래에서 겨울잠을 자고 2~3월에 깨어나 산란을 합니다.

큰산개구리와는 외형적으로 유사해서 구별이 간단하지는 않습니다. 계곡산개구리는 큰산개구리와 비교했을 때 크기가 작고 우람하다는 느낌이 별로 안납니다. 또한 주둥이가 더 둥근 편이고 고막의 크기가 눈과 비교했을 때 작은편입니다.

계곡산개구리 성체 1
계곡산개구리 성체 1
계곡산개구리 성체 2
계곡산개구리 성체 2

만약 배를 볼 수 있다면 배의 색과 무늬를 통해 동정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번식기에 수컷의 경우 약간 노란색을 띄고 턱 부분에 회색 무늬가 있습니다. 암컷은 배가 노란색을 띄고 턱 아래 회색무늬가 있습니다.

계곡산개구리 수컷
계곡산개구리 수컷
계곡산개구리 암컷 - 포접 중
계곡산개구리 암컷 – 포접 중

한 가지 특징만으로 구분하기보다는 외형, 주변환경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해서 구분해야 합니다.

암컷이 수컷보다 크고 수컷의 경우 산란 때 암컷을 잘 껴안기 위해서 앞 발 엄지에 혹 같은 것이 발달되어 있습니다. 암컷을 수컷이 뒤에서 껴안고 있고 암컷이 알을 낳으면 수컷이 정자를 내보내 수정을 합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